내컴퓨터를 DHCP 서버로 만들기 - Tftpd64
지금은 그만뒀지만 예전에 서버 관련 일을 했을 때, 고객사에서 참 까다로운 요청을 많이 받았었습니다.
제가 담당했던 여러 고객사 중 특정 고객사가 그런 요청을 유독 많이 했었는데, 예를 들면 갑자기 제가 관리하고 있던 서버 수십대의 전력 소비량을 전부 확인해달라거나, 각 서버의 랜카드 제조사를 전부 알려달라거나, 기존 보유 자료를 참조하지 말고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육안으로 디스크의 용량과 개수, RAID 구성을 전부 확인해달라는 등 최신 자료가 있어도 그 자료를 활용할 수 없고 현장 방문을 요구해서 확인을 요청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현장을 방문해보면 당연하게도 서버의 전원을 종료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했습니다.
고객사의 각 서버가 실제 업무에 사용되고 있어 이해는 되는 부분이지만, 해당 고객사는 레일도 설치되어 있지 않아 서버의 커버를 열어볼 수도 없는 구조였습니다.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 서버 엔지니어들에게 한줄기 빛과 같은 것이 바로 IPMI(Intelligent Platform Management Interface), 즉 서버 원격 하드웨어 관리 인터페이스인데 해당 고객사는 그마저도 없었습니다.
서버가 수백 대나 있는 대형 고객사였음에도 말이죠.
그럴 때 정말 큰 도움이 됐던 것이 오늘 소개해드릴 Tftpd64입니다.
Tftpd64는 쉽게 말해 사용자의 컴퓨터를 DHCP 서버로 만들어서 서버의 관리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설치방법
사용방법도 매우 간단합니다.
1. 먼저 압축을 풀고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2. 본인의 컴퓨터(노트북)의 IP를 설정한 후 네트워크 어댑터를 비활성화했다가 다시 활성화합니다.
(IP는 임의로 설정 가능, 예: 192.168.1.100)
3. Tftpd64를 실행하여 DHCP 탭을 선택하고, Server interfaces에서 설정한 IP를 선택합니다.
4. Settings에서 필요한 설정을 구성합니다.
5, IP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DHCP Server 페이지에 IP와 MAC 주소가 표시되고, 해당 IP로 접속하면 서버의 관리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IP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는 Settings 페이지를 열었다 닫아보거나, Server interfaces를 다시 선택해야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Settings 페이지를 열었다 닫거나, Server interfaces 선택 시 DHCP 탭이 유지되지 않고 첫 번째 탭으로 이동한다는 점입니다.
제 경험을 공유하자면, 한번은 IP를 받아오지 못해 약 2시간 동안 이것저것 시도해봤던 적이 있습니다.
아무리 시도해도 IP가 할당되지 않고 퇴근 시간은 다가와서 멘탈이 나가려던 찰나, 우연히 탭을 전환했다가 다시 DHCP로 설정했더니 갑자기 IP가 표시되어 5분 만에 업무를 완료하고 퇴근했던 기억이 납니다.
고객사의 까다로운 요청으로 곤란을 겪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프로그램을 소개해드립니다!
'자동차&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정비 기록 관리하기 ~초보 운전자도 쉽게 따라하는 차량 관리법~ (7) | 2025.03.01 |
---|---|
봄철 차량관리 완벽 가이드 ~겨울잠 깨고 봄맞이하는 내 차 관리법~ (6) | 2025.02.09 |
차량 배터리 수명, 이렇게 늘릴 수 있어요! - 과학적 원리부터 응급조치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1.27 |
2025 착한운전 마일리지 완벽 가이드 - 벌점 걱정 없는 안전운전의 시작 (4) | 2025.01.26 |
과속단속 카메라의 모든 것 - 경험으로 알려주는 대처 방법 (0) | 2025.01.21 |